대한민국 대표 석학 6인이 제시하는 신인류의 미래
놀랍도록 대담한 통찰, 확신과 경고, 전 지구의 삶을 관통하는 새로운 인사이트
코로나19 이후의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코로나 사파엔스』.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서 특별 기획한 ‘코로나19, 신인류의 시대’의 주요 내용을 엮은 것이다. 최재천(생태와 인간), 장하준(경제의 재편), 최재붕(문명의 전환), 홍기빈(새로운 체제), 김누리(세계관의 전복), 김경일(행복의 척도) . 여섯 명의 석학은 각각 생태, 경제, 사회, 정치, 심리 등 다방면으로 우리 사회를 분석하고 코로나19가 우리 삶과 세계에 가져올 변화와 기회에 대해 심층 진단한다. 문명의 근간부터 달라진 삶을 살아갈 것이기에 감히 ‘코로나 사피엔스’라는 새로운 용어로 인류의 삶을 정의하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완전히 다른 체제 아래 살아야 할 신인류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제시한다.
코로나19 사태가 위기와 반성만 안겨준 것은 아니다. 팬데믹 쇼크가 반복될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인 가운데, 앞으로 또 다른 바이러스가 등장했을 때 일상을 지켜가기 위해선 재택근무와 온라인 교육이 가능해야 한다. 감염을 줄일 수 있는 ‘비대면’에 대한 수요는 점점 늘어날 것이고, 이러한 흐름에서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될 것은 분명하다. 누구도 예상치 못한 팬데믹 앞에서 포노 사피엔스들이 보여준 대응은 놀라웠다. 코로나 확진자 파악 앱, 공적 마스크 구매 앱 등을 스스로 개발해 전 국민에게 무료 배포했다. 그 어떤 세대보다 빠르게 언택트한 일상에 적응했고, 사실상 주도했다. 최재붕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번에 코로나19를 겪어보니 어느 쪽이 더 건강하고 안전하게 위기를 넘길 수 있는지 답이 나왔다.” 기존 세대들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디지털 문명으로 바꾸지 않으면, 인류가 함께 살아남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덧붙인다.
목차
들어가는 글_ 예전과 완전히 다른 삶을 살아갈 우리, 코로나 사피엔스를 위하여
포스트 코로나[1] 생태와 인간_ 최재천
“바이러스 3~5년마다 창궐한다”
인류는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가
포스트 코로나[2] 경제의 재편_ 장하준
“1929년 같은 대공황 온다”
세계 경제는 어떻게 리셋되는가
포스트 코로나[3] 문명의 전환_ 최재붕
“받아들이지 않으면 죽는다”
포노 사피엔스 문명은 어떻게 가속화되는가
포스트 코로나[4] 새로운 체제_ 홍기빈
“지구 자본주의 떠받들던 4개의 기둥 모두 무너져”
만들어진 미래 아닌, 만들어야 할 미래는 무엇인가
포스트 코로나[5] 세계관의 전복_ 김누리
“자본주의가 무너지거나, 자본주의가 인간화되거나”
세상을 향한 거대 프레임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포스트 코로나[6] 행복의 척도_ 김경일
“사회가 강요한 원트로는 버텨낼 수 없다”
행복의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
< 위드피플 선생님 감상평 >
” 작년에 읽었던 사피엔스에서 유발하라리는 인류는 자신의 고유한 능력인 상상력을 문자발명을 통해 극대화하며 더불어 문명을 발전시켜올 수 있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근대에 이르면서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가속되고 있는 과학기술혁명으로 인류는 다음단계의 진보를 준비해오고 있지만, 그 발전의 과정이 과연 개개인에게 얼만큼 행복을 가져다주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었다.
드디어 코로나 사태가 터졌다. 코로나는 과연 예기치 않게 찾아온 불청객일까? 우리는 잘 알고 있었지만, 알면서도 막지 않았으며, 오히려 재촉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대한민국 각계를 대표하는 석학 6인의 공통된 생각이다. 인류가 추구해온 성장중심의 야수 자본주의가 불러온 당연한 결과라 입을 모은다. 섬뜩하다…. 장례를 치를 장소가 없을 정도로 밀려드는 시체들이 산처럼 쌓여가는 일이 언제 또 일어날지 모른다는 공포앞에서 우리 인류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인가?
화학적 백신 개발은 최후의 보루일 뿐이니 생태백신, 행동백신이 필요하다고 최재천교수는 말한다. 장하준 교수는 주객이 전도된 경제체제를 정상화하여 사람을 살리는 경제, 인간을 위한 복지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한다. 최재붕 교수는 포노 사피엔스의 문명을 더욱 가속화하여 모두가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한다. 홍기빈 소장은 무한한 경제 성장이 아닌 인간과 자연과 사회 모두가 좋은 삶, 이러한 방향으로 경제를 전환해야 한다고 한다. 김경일 교수는 무한 욕망을 ‘원트’하지 말고 적정한 행복을 ‘라이크’하는 삶을 권한다.
개인의 올바른 가치관과 선택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문명으로 전환해 나가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 있는 것만큼은 분명하다. “
경영본부 윤인수
코로나 이후 1년간의 경제와 정치, 미래에 대한 여러 석학들의 견해가 들어 있는 책이다. 코로나 이후 이전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코로나를 통해 개인의 힘으로 살아갈수 없으며 국가의 개입이 필요하고 사람들과의 연대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경쟁만을 강요하는 현 교육체제 만으로 미래를 잘 살아갈수 없다는 이야기에 동의하며 어떻게 함께 성공하는 모습을 가르쳐야 할지 고민하게 되었다.
해운 특목대입관 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