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수능

우선 학생의 목표와 성적분석, 현재 추이와 아이의 객관적 위치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시가 더 편하고 안전하게 대학을 갈 수 있다는 것을 다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정시로 돌리는 경우는 목표 대학에 지원하는데 그 만큼의 내신이 나오지 않아서 정시에 집중하겠다. 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만 한 번 짚고 넘어가야할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째

1,2학년 모의고사는 전 범위가 아니다.

둘째

1,2학년 모의고사는 응시자의 1/4 넘게 차지하는 재수생들이 없고, 재학생도 전국이 아니며(안 보는 지역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표본으로 적합하지 않다.

셋째

1,2학년 모의고사를 위해 내신처럼 1주일 동안 전날 밤을 새고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다.

(3학년 모의고사와는 상황이 다릅니다.)

넷째

1,2학년는 범위가 내신에 비해 넓기 때문에 복습을 미리 한 학생들이 매우 유리하다.

이에 대한 근거는 만점 표준점수이 수능, 9월 모의고사에 비해 터무니없이 높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1,2년 모의고사 점수는 정확히 수시가 유리하냐 정시가 유리하냐 라는 것에 대한 지표가 되기는 부족합니다. 그래서 보통 3학년 첫 모의고사를 기준점으로 삼습니다.(사실은 3월 모의고사도 위의 사실과 비교해보면 부족한 것이 많습니다.) 또한, 6월 모의평가는 재수생이 함께 치르는 첫 시험이라는 점에서 3월 모의고사와는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또한, 학생부 종합전형은 전반적인 내신 추이를 모두 보기 때문에, 2,3학년 때 유의미한 성적 상승이 있으면 그것을 높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1학년 1학기 망쳤다고, 한 학기 좀 못 봤다고 안 되니깐 정시하겠다는 것은 교과 전형만 생각하는 굉장히 위험한 판단입니다.

1,2학년이라면 수능까지 아직 기간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1-2년 내내 수능공부만 하면 처음 겪는 상황에서 아이들은 제 페이스를 내기 어렵습니다. 또한 이 시기의 아이들은 또래가 정서적으로 필요합니다. 할 때는 하고, 놀 때 노는 것이 건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정시로 갈 거면 내신 공부를 치열하게 꼭 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학교 행사에 참여하지 않을 이유도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2,3학년도에는 서울대가 교과이수상황을 정시에 반영하기로 했다는 사실도 염두 해 두어야 합니다.

또한 정시는 망쳤을 때 갈 수 있는 선택지가 매우 한정적이라는 것도 감안하셔야 합니다. 입시는 항상 10% 아이들만 바라보고 언론에서 발표를 합니다. 정시 40%시대라고 하지만 그거는 상위권 대화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이고, 3등급 이하의 대학들은 모집이 안 되기에 정시를 극단적으로 줄여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지방에 인기 있는 학교, 학과는 의외로 정시 성적이 높습니다. 물론 수능을 잘 봐서 평균백분위 80이상을 맞아 원하는 곳을 가면 좋겠지만, 그 이하는 정시로 갈 수 있는 문이 정말 좁기 때문에 갈 수 있는 곳이 한정적이고, 여기 갈 바에는 재수한다 식으로 재수생들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재수생이 다시 유입되어 재학생들 성적이 떨어지고 악순환의 반복이 이어지게 됩니다.

목표가 뚜렷하고 이 방법밖에 없기에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학생들도 물론 있습니다. 그러나 학부모 입장에서 수능이라는 시험은 변수가 많고, 실패 시 학생이 받을 고통을 생각하면 계획 없이 수시로 돌리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정시로 가겠다는 것이 정말 방법이 그것 뿐인지, 단순한 합리화인지도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심도 있게 고민해서, 정시로 돌리려는 학생의 미래에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 학부모 진로·진학 Q&A